닫기

- 한국영상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닫기

논문검색
HOME  •  학술지논문  •  논문검색

한국영상학회논문지, Vol.22 no.2 (2024)
pp.21~40

DOI : 10.14728/KCP.2024.22.02.021

- 디지털 민화로 재현된 책가도 - <송상현의 책가도>를 중심으로 -

서정화

(부산대학교 디자인학과(애니메이션전공) 박사과정)

김유미

(부산대학교 디자인학과 BK연구교수)

이현석

(부산대학교 디자인학과 교수)

본 논문은 역사적 인물인 송상현의 생애와 충절을 책가도 형식으로 재현한 ‘디지털 민화’에 대한 연구이다. 민화는 우리 선조 들의 소박한 소망과 염원을 표현하였던 실용화(實用畵)이다. 전통 민화의 한 유형인 ‘책가도’를 현대적 매체와 시각으로 재해 석하고, 어떻게 현대적 변용이 이루어지는지 본인의 창작을 통해 그 특성을 고찰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한 연 구의 전개는 첫째, 현재 학계에서 제시하고 있는 한국 전통 회화 분류법과 논의를 살펴보고 ‘민화’의 정의에 대해 살펴본다. 둘째, 민화의 한 종류인 책가도의 기원과 역사적 변용에 대해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셋째, 민화가 어떻게 현대예술로 재 현되었는지를 6명의 작가와 작품 분석을 통해 알아본다. 넷째, 분석 대상인 송상현 관련 사료를 분석하여 그의 생애와 상통하 는 주제어를 도출한다. 또한, 주제어들이 조선시대 민화에서 도상하는 방식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송상현 생애의 주요 사건 과 관련된 사물들을 현대적 구도와 색감의 ‘디지털 민화’ <송상현의 책가도>를 창작한다. 조선시대 유교적 문치주의의 상징이 자, 사대부들뿐만 아니라 민중에도 널리 사랑을 받았던 ‘책가도’를 표현 양식으로 한다. 앞선 문헌 연구를 통해 도출된 송상현 의 우국충정과 선비정신을 상징하는 도상들을 차용해 송상현의 디지털 서가를 현대적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도상의 위계적 배 치는 연구자의 문헌 연구에 바탕하여 창작하였다. 본 연구는 민화와 책가도에 대한 문헌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본인의 창작으로 연계하는 실습 기반 연구(practice based research)로 진행되었음을 밝힌다.

Chaekado Represented in Digital Minhwa - Focusing on Song Sang-Hyun’s Chaekado

Seo, Jung Hwa

Kim, Yu Mi

Lee, Hyun Seok

This paper is a study of 'Digital Minhwa', which reproduces the life and loyalty of the historical figure Song Sang-Hyun in the form of Chaekado. Minhwa is a form of painting that expresses the simple wishes and aspirations of our ances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transformation by reinterpreting 'Chaekado', a type of traditional Minhwa, with modern media and a modern perspective, linking it with one's creation. The research development starts by examining the classification method and offering a discussion of traditional Korean painting as currently presented in the academic world and examining the definition of 'Minhwa'. Second, the origin and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Chaekado, a type of Minhwa, are examined while focusing on literature. Thirdly, the study analyzes how Minhwa has been reproduced as modern art by examining the works of six artists. Fourth, by analyzing the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Song Sang-Hyun, the subject of Korean analysis, we derive a keyword that is in line with his life. Additionally, we examine how key themes are portrayed in the iconography of Minhwa during the Joseon Dynasty. Finally, we create a type of Minhwa of Song Sang-Hyun’s Chaekado in a contemporary composition and color scheme using objects related to key events in Song Sang-Hyun’s life. The expression style is 'Chaekgado', a symbol of Confucian liberalism in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widely loved by not only noblemen but also by the people. Through previous literary research, Song Sang-Hyun's digital bookshelf was modernized with icons symbolizing his loyalty and the Seonbi spirit. The hierarchical arrangement of each icon is created based on the researcher's literary analysis.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ractice-based research, in which the researcher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on Minhwa and Chaekado, and based on this, created her work.

다운로드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