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 한국영상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닫기

논문검색
HOME  •  학술지논문  •  논문검색

한국영상학회논문지, Vol.19 no.6 (2021)
pp.5~18

DOI : 10.14728/KCP.2021.19.06.005

- 대학 영상 교육을 위한 룩업 테이블 활용 및 아날로그 필름 룩 구현 워크플로우 -

한동균

(명지대학교 예술체육대학 예술학부 영화전공 객원교수)

아날로그 필름 시대와 디지털 영상 제작 초창기의 색보정은 기술적 한계로 인해 아주 좁은 범위의 이미지 재가공만을 의미하 였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에 따라 Log 혹은 Raw 이미지로 영상을 촬영하는 고성능 디지털 카메라가 등장함으로 인해 현대 영상 포스트프로덕션에서 색보정 단계는 더 이상 예술적 선택이 아닌, 필수 단계로 자리 잡았다. 본 논문의 문제의식은 대학 영상 교육의 현장에서 저학년 학생의 영상 제작 실습 작품이 기술적 이해의 부재로 인해 미흡한 완성도로 마무리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현재 대다수 대학의 영상 관련 학과 커리큘럼에 있어 영상 제작 교육은 전학년을 대상으로 단계별로 실시되는 반면, 포스트프로덕션 단계에 관한 심화 교육 및 색보정 교육 실습은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이뤄지고 있다. 하지 만 이런 환경적 제약이 포스트프로덕션 기술의 중요성에 관한 영상 산업 종사자 및 영상 교육자들의 이해도 결여로 인한 결 과가 아님은 명백하다. 포스트프로덕션 기술의 이해를 위해선 매체에 관한 이론적 지식을 수학함은 물론, 촬영, 조명, 사운드 디자인 등 영상 제작의 다른 선행 분야에 관한 학습이 우선시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본격적인 포스트프로 덕션 단계의 학습 이전에 선행할 저학년 대상 영상 제작 실습에 적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으로서 룩업테이블 워크플로우 의 활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필요한 시각적 예시로 디지털 영상의 아날로그 필름 룩 구현을 위한 LUT 제작 과정을 활용함으로써 학생 영상 작품의 시대적 배경 등의 선택 폭을 넓히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e Workflow for Utilizing Lookup Tables and Implementing Analog Film Looks for College Film Education

Han, Donggyun

Color grading in the analog film era and the early days of digital video production meant only a very narrow range of image reprocessing due to technical limitations. Howeve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advent of high-performance digital cameras to capture images in Log or RAW formats have made the color grading stage in modern film post-production no longer an artistic choice but an essential step. This study suggests an alternative solution given the fact that the completeness of video production practice work by student on their first or second-year in the field of university video education is often insufficient due to their lack of technical understanding. Currently, filmmaking practice is conducted gradually for students in all grades in the video-related department curriculums of most universities, while in-depth education and color correction education practice on the post-production stage are conducted only for students on their third or fourth-year. However, these environmental constraints are not the result of a lack of understanding by film industry workers or film educator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post-production technology. They arise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earlier concepts in film production, such as principal photography, lighting, and sound design, which should be prioritized on top of theoretical knowledge of media in order to ensure a sound understanding of post-production technolog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use of a lookup table workflow as a realistic alternative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lm production practice of students early in their college years who will later learn in the full-scale post-production stage. In addition, by utilizing the LUT workflow for the creation of an analog film look in digital images as a visual example necessary during the research process, we intend to contribute through this study to the expansion of the selection of student film works, such as by reviving the look of specific time periods.

다운로드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