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 한국영상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닫기

논문검색
HOME  •  학술지논문  •  논문검색

한국영상학회논문지, Vol.22 no.6 (2024)
pp.41~54

DOI : 10.14728/KCP.2024.22.06.041

- <화이트데이> IP 기반 비주얼 노벨 작품 제작 - 시나리오 구조 제작 및 변형을 중심으로 -

문찬욱

(성균관대학교 게임디자인학과 석사과정)

엄소윤

(성균관대학교 게임디자인학과 석사과정)

강주은

(성균관대학교 게임디자인학과 학석사과정)

이재준

(성균관대학교 예술대학 게임디자인학과 교수)

이 논문은 화이트데이 IP를 활용한 비주얼 노벨 장르 게임의 기획과 개발 진행 기록을 기초로 한 연구이다. 최근 서브 컬쳐 아트 스타일과 내러티브 중심 게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요의 중심엔 비주얼 노벨 게임이 있다. 이 장르의 게임 은 플레이어에게 내러티브 전개의 통제권을 부여하고, 그 분기를 결정하는 재미를 핵심 경험으로 제공한다. 연구팀은 이 경험 제공을 목적으로 화이트데이 IP를 활용하여 비주얼 노벨을 제작했다. 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비주얼 노벨의 스토리텔링 구조와 기존 게임 사례를 분석하여, 각 구조가 가진 장단점을 분석하고, 게임의 선택지 구조를 화이트데이 비주얼 노벨을 위 해 변형 및 적용하여 스토리 분기 구조를 설계하였다. 게임의 캐릭터 및 공간은 IP 설정을 중심으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일부 변형하였다. 스토리 중심의 빠른 개발이 가능하도록 게임 디자이너가 프로그래머의 도움 없이 스토리 분기를 확인할 수 있도 록 하여, 비주얼 노벨의 선택지가 주는 근본적 재미인 내러티브와 스토리텔링 구조를 잦은 반복 디자인 과정을 통해 고찰하였 다. 본 연구를 통해 게임 디자인적으로 스토리 선택 구조가 비주얼 노벨의 플레이 경험에 미칠 효과를 연구하였고, 향후 게임 디자인 과정에서 스토리 분기 설계에 관한 하나의 참고 사례가 되고자 한다.

Development of Visual Novel Contents Based on <Whiteday> IP - Based on Making Scenario Structure

Moon, Chan Uk

Eom, So Youn

Kang, Joo Eun

Lee, Jae Jun

This paper presents a study based on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records of a visual novel game utilizing the White Day. Recently, there has been growing demand for anime-style art and narrative-driven games, with visual novels at the center of this trend. These games provide players with control over the progression of the narrative, offering the enjoyment of determining its branches as a core experience. To deliver this experience, the research team developed a visual novel using the White Day IP. Throughout the project, the storytelling structures of visual novels and pre-existing game example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structure. The choice system of the game was then modified and applied specifically to the White Day visual novel, designing a unique branching narrative structure. The characters and settings were adapted to fit the context of the IP, with some adjustments made to reflect the flow of time. To enable rapid, story-focused development, a system was created that allows game designers to review narrative branches without programmer assistance. This iterative design process focuses on examining the fundamental enjoyment derived from narrative and storytelling structures. Through this study, the impact of branching story structures on the visual novel experience was explored, providing a reference case for future game design processes related to narrative branching.

다운로드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