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 한국영상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닫기

논문검색
HOME  •  학술지논문  •  논문검색

한국영상학회논문지, Vol.21 no.2 (2023)
pp.5~24

DOI : 10.14728/KCP.2023.21.02.005

- 비대면 시대의 참여 중심 예술 활동에 관한 연구 - 예문답(藝問答)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프로젝트 을 중심으로 -

이예승

(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 조교수)

21세기 미술관의 예술 활동은 ‘창작-향유’의 이원화 구조를 넘어서 향유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2020년 서울시립남서울미술관은 비대면 시대 향유자의 적극적인 예술 참여를 위한 전시 <전혀 예술적인, 엉성한 미술관>을 기획하고 저자를 전시작가로 초대하여 프로토타입 프로젝트 을 선보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시기 ‘예술 창작-향유의 중첩 모델’을 구상하고 이를 바탕으로 을 실험하며 그 의미 를 논의함으로써, 창작자와 향유자의 새로운 관계와 소통 그리고 결합을 모색하고 그 의의를 검토함에 있다. 이를 위해 저자 는 예술 창작-향유 중첩 모델을 실행 가능하게 하는 모티브로 다도와 선문답 변용하고 그림 그리기와 증강현실기법을 결합한 순환·반복적이며 불연속적 소통방식인 ‘예문답(藝問答)’을 제안하였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발견법(heuristics)을 적용하여 을 구현하였다. 이 작품에서 창작자와 향유자는 증강현실이 결합된 종이컵에 담긴 그림 메시지로 소통하 면서 예술적 문답을 나눈다. 여기서 창작자와 향유자의 역할은 중첩되고 역전되면서 이들은 공동 창작품을 만들어 나간다. 이 프로젝트에서 향유자는 예문답의 불연속적 소통이 만드는 기다림을 통해 작품 창작과 탐험에 몰입하며 코로나 이전의 평상심 을 경험한다는 점에서 이 프로젝트는 정서적인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문답의 중첩 모델을 일반화하기 위해서 이 것이 가진 복잡한 과정과 과도한 수행적 방식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A Study of Participatory Art Activities in the Non-Face-to-Face Era - Focusing on Tea Room:2020, a Project Using Yemundap and Augmented Reality

Lee, Yeseung

The artistic activities of art museums in the 21st century are turning toward emphasizing the active participation of museumgoers beyond the dual structure of ‘creation-enjoyment’. Reflecting this trend, in 2020, the SEMA Nam-Seoul Museum of Art planned an exhibition, entitled “Never Ever Artistic, Sloppy Museum,” to bolste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art fans in the non-face-to-face era. The author was invited as an exhibition artist and presented an art prototype project, “Tea Room:2020,” at the exhib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vision a ‘superposition model of art creation-enjoyment’ in the non-face-to-face period, the experiment “Tea Room:2020” based on the model, and to discuss its meaning. In this way, the study seeks new relationships, the communication and union of creation and appreciation, and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se concepts. To this end, the author proposed ‘Yemundap’, a circular, iterative, and discontinuous communication method into which a tea ceremony and Zen riddles were transformed. ‘Yemundap’ also combines drawing and augmented reality to superpose art creation and enjoyment. To realize this, heuristics were applied when implementing “Tea Room:2020.” In this work, the creator and art fans share artistic dialogues while communicating by drawing messages that are contained in paper cups and combined with augmented reality. Here, the roles of the creator and the art fan are overlapped and reversed, and they create a collaborative creation. This project has emotional significance in that the art fans immerse themselves in the creation and exploration of works by a waiting period created by the discontinuous communication of ‘Yemundap’, experiencing the sense of normalcy that existed before the COVID19 pandemic. Nonetheless, in order to generalize the superposition model of ‘Yemundap’, it is necessary to improve its complex process and to reduce its excessive performative methods.

다운로드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