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 한국영상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닫기

논문검색
HOME  •  학술지논문  •  논문검색

한국영상학회논문지, Vol.20 no.2 (2022)
pp.25~41

DOI : 10.14728/KCP.2022.20.02.025

- <벌새>, 1994년 서울과 폐허의 풍경 -

남승석

(연세대학교 매체와예술연구소 연구교수)

본 연구는 영화도시 속에서 폐허의 풍경에 퇴적된 국가적 트라우마를 통해 한 개인이 공식적 역사와 만나는 과정을 탐색하고 그 의미를 폐허의 시학과 알레고리를 통해 고찰한다. 연구대상은 영화 <벌새>(김보라, 2018)에서 재현된 1994년 서울과 성수대교 붕괴 현장, 그리고 그 장면을 목격한 은희(박지후)와 그녀의 시선을 통해 다시 재구성되는 풍경이다. 연구 방법은 폐허의 시학과 알레고리로 구성된다. ‘폐허의 시학’은 18세기 프랑스 폐허의 풍경화에 대한 드니 디드로의 비평 개념이며 ‘폐허의 알레고리’는 발터 벤야민이 자연사 속 퇴적된 고통의 형상화 된 개념이다. 본 연구는 폐허와 관련된 개념들을 각각 시간-이질성이라는 아크로니시티, 그리고 세대전의적 트라우마인 포스트메모리를 통해 고찰하였다. <벌새>는 서울의 영화적 무대화를 통해서 압축적 근대화 속에서 이질-시간성으로 구성된 서울의 한 소녀의 정신적 풍경을 폐허의 풍경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민지, 전쟁, 산업화, 민주화라는 한국 현대사 속의 압축적 근대화 과정이 퇴적된 서울의 이질-시간성을 논의한다. 은희는 1994년 빛나는 시간과 고통의 시간을 함께 경험하는 특정 세대이자 동시에 한 개인이다. 이 영화의 서사는 은희의 현재의 기억에 기반을 두고 세대전이적 트라우마를 통합하여 포스트메모리로 확장되어 구성된다. 재개발을 위해 철거된 지역과 같은 폐허의 풍경은 은희의 새로운 세계 인식과 함께 내면의 균열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은희는 성수대교 붕괴와 같은 폐허의 풍경을 바라보면서 그녀 자신의 사적인 개인사를 넘어서 공식적인 역사와 만난다. <벌새>에서 드러난 폐허의 풍경은 고통의 세계사 속에서 세대를 초월한 ‘함께 있음’을 성찰적으로 형상화하는 알레고리인 것이다.

1994 Seoul and Landscape with Ruins in House of Hummingbird

Nam, Seung Suk

This study examines how the allegory of ruins is constructed through the romance narrative of a girl who (in)directly experiences the Seongsu Bridge Collapse in 1994.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 scenery of Seoul, as walked through by Eun-hee (Park Ji-hu) in House of Hummingbird (2018). Throughout the cinematic staging of Seoul, the cityscape is embodied as a landscape with ruins as a symptom in the wake of the Seongsu Bridge collapse and Eun-hee's daily life before the event. The research methods are based on the poetics of ruins and the allegory of ruins. In House of Hummingbird, the landscape with ruins is a visual expression of the shaping of a girl's mental landscape throughout the stageization of Seoul. Achronicity explains the time in a city where has undertaken compressed modernization. The landscape with ruins then reveals Eun-hee's mental landscape, which allegorically takes the shape of togetherness, 'being with,' throughout an ambivalent emotion concerning a shining moment and a traumatic moment. House of Hummingbird reveals the mental landscape of the young girl Eun-hee in Seoul, which undergoing the process of compressed modernization, through the landscape of ruins. It includes transgenerational trauma, that is, post-memory, based on the memory as a generation and as an individual, experiencing the shining and painful times of Seoul. For example, the landscape of ruins, such as an area demolished for redevelopment, creates a crack inside Eun-hee. She then briefly encounters the official history beyond her own personal story to mourn a historical loss and suffering through aesthetic means. The landscape of ruins in House of Hummingbird can be an allegory that reflexively reveals togetherness in the suffering of humanity's history.

다운로드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