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 한국영상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닫기

논문검색
HOME  •  학술지논문  •  논문검색

한국영상학회논문지, Vol.19 no.4 (2021)
pp.5~20

DOI : 10.14728/KCP.2021.19.04.005

- 부적(符籍)의 (재)발견 - 부적 그래픽의 조형적 상징성과 추상성 -

오영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형대학 디자인학과 교수)

고대로부터 이어져온 원형적 형상들, 우주만물의 창조의 원리를 상징적으로 도식화한 관념의 기호들, 그리고 기(氣)의 흐름과 도 같은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인간의 직관에 의한 추상적 조형들, 이러한 상징의 그래픽들로 이루어진 부적(符籍)의 그래 픽아트는 인간의 상상력을 동원하여 비가시적인 세계를 가시화한 지극히 창의적인 예술이다. 왜냐하면, 모든 예술 활동 역시 예술가가 상상의 나래를 펴고 보이지 않는 세계를 가시화한 창조의 결과물들이기 때문이다. 창의적인 조형언어로서의 부적은 다채로운 상징의 그래픽 기호들로 이루어진 부적만의 독특한 조형언어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는 인간의 삶에서의 조화와 균형을 추구하는 의미들을 가시화한 다가(多價)적인 시각언어로 이루어진 복합기호체로서 단일 기호의 의미보다는 서로 얽혀 진 다양한 조합들에 의해 그 상징적 의미가 한 층 더 가중되는 통합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부적의 그래픽들이 ‘상징 성의 구현 혹은 추상성의 확립’이라는 측면에서 부적 안에서 어떠한 조형적 작업이 이루어졌는가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부적의 그래픽 기호가 지닌 상징성과 추상성이 어떤 조형원리로 구축되는가를 고찰함으로써 이를 규명하고 자 한다. 상징과 추상으로서의 부적 그래픽들은 무한히 열려 있는 해석의 다양함으로 인해 우리의 시각문화 속에서 더욱 풍부 한 복합적 상징들로 거듭날 수 있는 많은 잠재적 가능성을 지닌 시각적 질료라고 할 수 있다. 우리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동원 하여 부적의 그래픽 이미지들을 오늘날의 시각커뮤니케이션의 장으로 불러들이는 새로운 도전을 통해 다의적 추상그래픽의 또 다른 창조적인 조형적 해석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부적 그래픽들의 조형적 의미작용에 대해서는 후속연구에서 보다 상세히 논의하도록 하겠다.

(Re)discovery of Talisman - Formative Symbolism and Abstraction of Talisman Graphics

Oh, Young Jae

Archetypes, handed down from ancient times, are ideological signs symbolically schematizing the principle of creation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and abstract forms based on human intuition about the invisible world, such as the flow of energy. The graphic art of the talisman holds these symbolic graphics as an outstanding form of creative art, as all creative activities are also the result of the creations of artists' imaginations and the visualization of an invisible world. As a creative formative language, the talisman establishes a unique formative language system consisting of various symbolic graphics. They are a complex of visual symbols with various meanings that visualize the definitions of seeking harmony and balance in human life, with an integrated characteristic in which symbolic meaning is further enhanced by various intertwined combinations rather than the meaning of a single symbo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at type of formative work has been performed with regard to the talisman in terms of the ‘implementation of symbolism or the establishment of abstraction’ in the graphics of the talisma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take a close examination of the formative principles of the symbolism and abstraction of the graphic symbols of the talisman. Talisman graphics as symbols and abstractions are visual materials with strong potential to be reborn as richer complex symbols in our visual culture due to the infinite variety of open interpretations. Using our imagination and creativity, another creative formative interpretation of polysemous abstract graphics may be possible through the new challenge of bringing the graphic images of the talisman into today's visual communication arena. The formative signification of talisman graphics will be discussed in more detail in subsequent studies.

다운로드 리스트